용접물 브라켓은 기계 및 구조물의 결합을 돕는 필수적인 부품으로, 산업 현장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하중을 견디고, 구조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강도와 내구성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솔리드웍스를 활용하여 용접물 브라켓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모델링 파악하기, 베이스 피처 작성하기, 서브 피처 작성하기의 단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모델링 파악하기
1.1 용접물 브라켓의 역할과 주요 형상
용접물 브라켓은 금속 구조물을 고정하거나 보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강도, 체결 방식, 용접 위치를 고려한 설계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인 용접물 브라켓 구조
기본 플레이트(Base Plate): 본체와 맞닿는 면
보강 리브(Rib Reinforcement): 강도를 높이는 요소
장착 홀(Mounting Holes): 체결을 위한 구멍
용접부(Welded Area): 연결을 위한 용접 적용
이제 솔리드웍스를 활용하여 용접물 브라켓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베이스 피처 작성 – 기본 플레이트 형상 만들기
서브 피처 추가 – 보강 리브 및 장착 홀 적용
2. 베이스 피처 작성하기
2.1 브라켓 기본 플레이트 생성
Front Plane(정면 평면)에서 새로운 스케치 생성
Rectangle(사각형) 도구를 활용하여 기본 플레이트 스케치 작성
예: 150mm × 100mm
Extrude(돌출) 기능을 사용하여 두께 적용
돌출 거리: 10mm
2.2 브라켓 측면 구조 생성
Side Plane(측면 평면)에서 새로운 스케치 작성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브라켓 측면 구조 스케치
Extrude(돌출) 기능을 활용하여 일정 두께로 돌출
예: 50mm
이제 용접물 브라켓의 기본 형상이 완성되었습니다.
3. 서브 피처 작성하기
3.1 장착 홀 생성
Top Plane(상단 평면)에서 새로운 스케치 작성
Hole Wizard(홀 마법사) 기능을 활용하여 나사 홀 또는 일반 구멍 생성
예: M8, M10 볼트 규격
구멍의 위치를 치수로 정밀하게 조정 후 피처 적용
3.2 보강 리브 추가
Rib(리브) 기능을 활용하여 플레이트와 측면 구조를 연결
리브 두께 및 각도 조절
두께: 5mm
경사각: 45도
3.3 용접 적용
솔리드웍스의 Weldments(용접) 기능을 사용하여 용접 부위 지정
필렛 용접 또는 모따기 용접 적용
이제 강성을 확보한 용접물 브라켓 모델이 완성되었습니다.
4. 결론
지금까지 솔리드웍스를 활용한 용접물 브라켓 모델링 과정을 살펴봤습니다.
베이스 피처를 생성하여 기본 플레이트와 측면 구조 구축
서브 피처를 추가하여 장착 홀 및 보강 리브 적용
용접 기능을 활용하여 실제 제작과 유사한 모델 완성
이 방법을 익히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견고한 브라켓 설계를 할 수 있습니다.
솔리드웍스 연습을 꾸준히 하면서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델링 기술을 익혀보세요!
2025.02.27 - [솔리드웍스] - 솔리드웍스 전문가가 알려주는 본체 부품 모델링 – 실전 가이드
솔리드웍스 전문가가 알려주는 본체 부품 모델링 – 실전 가이드
본체(Body) 부품은 제품의 핵심 구조를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강도, 내구성,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설계되며,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솔리드웍스를
4ulove.tistory.com
'솔리드웍스(SOLIDWOR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리드웍스 전문가가 알려주는 어셈블리 명령 완벽 정리 – 부품 삽입부터 패턴까지 (0) | 2025.02.27 |
---|---|
솔리드웍스 전문가가 알려주는 어셈블리 시작하기 – 기본 개념부터 실전 활용까지 (0) | 2025.02.27 |
솔리드웍스 전문가가 알려주는 본체 부품 모델링 – 실전 가이드 (0) | 2025.02.27 |
솔리드웍스 전문가가 알려주는 파이프 브라켓 모델링 – 실전 가이드 (0) | 2025.02.27 |
솔리드웍스 전문가가 알려주는 오일팬 모델링 – 실전 가이드 (0) | 2025.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