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93

오토캐드 이해하기 [1] 오토캐드는 설계자의 생각을 담아내는 도구로, 컴퓨터가 대중화되면서부터 설계 업무 전반에 걸쳐서 폭넓게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건축분야에서는 오토캐드가 가지고 있는 여러 한계점에 부딪히고 부족한 기능들이 있어 건축 설계용 전용 툴인 아키캐드나 레빗을 사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아직도 오토캐드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오토캐드 툴셋에는 아키텍처 툴셋, 일렉트리컬 툴셋, 메케니컬 툴셋, 메버 툴셋, 맵 3D 툴셋, 레스터 디자인 툴셋, 플랜트 3D 둘셋 등 건축, 기계 엔지니어링, 전기 설계 등 산업군별 기능과 지능형 객체를 제공합니다. 더욱 자세하게는, 평면도, 단면도 및 입면도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기능과 부품 라이프러리를 사용하여 빠르게 배관, 덕트 및 회로 작성할 수 있으며, 주석, 도면층,.. 2023. 1. 29.
솔리드웍스 이해하기 [5] 필렛비드는 각각 접하는 면을 선택하는데 반해, 용접비드는 스마트 용접비드 도구를 활용하여 작성가능하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용접구조물 도구모음에서 용접비드 아이콘을 선택 후 스마트 용접도구 아이콘을 선택한다. 용접비드를 작성할 부분을 선택 후 드래그하면 곡선이 작성된다. 옵션창에 필렛 반경, 둘레용접 항목에 체크하면 테두리를 따라 용접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세부 용접표시는 주석을 활용하면 좋다. 용접기호 정의 항목을 선택한 후 세부기호를 입력할 수 있고, 작업한 용접비드는 기본으로 용접기호만 표시되는데 실제 작업처럼 표시하려면 메뉴바, 보기, 용접비드 순서대로 선택하면 표시가능하다. 주조설계는 거푸집 같은 틀을 만든 후 쇳물이나 플라스틱을 녹인 재료를 사용하여 형태를 얻는 작업방식이다. .. 2023. 1. 20.
솔리드웍스 이해하기 [4] 용접구조물 설계방식은 스윕 피처를 단면 스케치가 경로 스케치를 따라가면서 피처를 생성하는 것으로, 경로에 해당하는 3D 스케치로 프레임을 작성한 후, 프로파일이 프레임을 따라가면 구조물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용접 구조물 장점은 하나의 프레임에 각각 다른 프레임을 적용하여 용접 구조물을 생성하는 데 있으며, 어셈블리 파일로 모델링하는 작업에 비해 시간과 노력을 아낄 수 있다. 용접 비드, 기타 용접 구조물 피처 작업 시 편리하다. 순서는 먼저, 단면 프로파일을 설계 후 3D 스케츠로 프레임을 작성한 뒤, 구조용 멤버를 작성하면 된다. 이후 멥버 편집을 한 후 보강대를 작업하고 엔드캡도 작업가능하다. 용접과 필렛비드를 작업하고 도면화작업을 하면 완성된다. 구조용 멤버 단면은 프로파일로 불리며 프로파일을 작성.. 2023. 1. 20.
솔리드웍스 이해하기 [3] 판금 설계의 방식은 총 5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중 한 가지를 살펴보면, 개별 플랜지 설계방식이 있고, 이 방식은 가장 기본설계 방식으로 사각 판재를 우선 만들고 모서리 플랜지를 활용하여 벽을 세우는 방식이다. 두 번째로 플랜지 일체형 설계방식은 플랜지 부분까지 스케치한 후 한 번에 판금 베이스로 생성하는 방식이다. 세 번째로 전개도 작성 방식은 전개도 형태로 판금을 작성 후 굽힘 스케치를 기준으로 접어 올리면서 설계하는 방식이다. 네 번째로 솔리드 판금 변환 방식은 솔리드 피처로 전체 형태를 형성한 후 판금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다섯 번째로 곡면 판금 설계 방식은 또다시 두 가지 방식으로 세분화할 수 있는데, 열린 단면 스케치와 열린 단면 스케치를 연결하여 로프트 판금 피처를 만드는 방식과, 단면.. 2023. 1.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