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토캐드

오토캐드 전문가가 말해주는 객체 그리기 - 구름형 수정 기호, 객체 가리기, 나선, 도넛 그리기

by koko1 2025. 2. 17.
반응형

1. 구름형 수정 기호(Revcloud)

1.1 ‘Revcloud’ 명령어는 도면에서 수정된 부분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보통 도면 검토 과정에서 변경된 내용을 표시하는 데 활용되며, 둥근 구름 모양의 선을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1.2 구름형 수정 기호를 그리는 방법:

‘REVCLOUD’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개별적으로 선을 그리거나 기존 객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엔터를 누르면 구름형 수정 기호가 생성됩니다.

 

1.3 ‘REVCLOUD’ 옵션을 활용하면 자동 호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이나 다각형 형태로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객체 가리기(Wipeout)

2.1 ‘Wipeout’ 명령어는 특정 영역을 가려서 도면을 깔끔하게 정리할 때 사용됩니다. 배경을 숨기면서도 원본 객체는 유지되는 방식으로, 가독성을 높이는 데 유용합니다.

 

2.2 객체 가리기를 사용하는 방법:

‘WIPEOU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숨길 영역을 다각형으로 지정하거나 기존 경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AME’ 옵션을 조정하면 가려진 영역의 테두리를 보이게 할 수도 있습니다.

 

2.3 Wipeout을 활용하면 복잡한 배경을 정리하거나 특정 객체만 강조할 때 효과적입니다.

 

 

 

3. 나선 그리기(Helix)

3.1 ‘Helix’ 명령어는 3D 설계에서 나선형 구조를 생성하는 기능으로, 스프링이나 계단 같은 형태를 만들 때 유용합니다.

 

3.2 나선형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

‘HELIX’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시작 반지름과 끝 반지름을 지정합니다.

나선의 높이 및 회전 수를 설정하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3.3 Helix를 활용하면 3D 설계에서 곡선 형태의 요소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4. 도넛 그리기(Donut)

4.1 ‘Donut’ 명령어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객체를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원형 테두리를 강조하거나 특정 기호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4.2 도넛을 그리는 방법:

‘DONUT’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내부 반지름과 외부 반지름을 입력합니다.

도넛을 배치할 위치를 지정하면 원하는 개수만큼 생성할 수 있습니다.

 

4.3 Donut을 활용하면 기계 부품 설계나 도면의 특정 마커를 만들 때 효과적입니다.

 

 

 

5. 결론

오토캐드에서 구름형 수정 기호(Revcloud)’를 사용하면 도면 변경 사항을 강조할 수 있으며, ‘객체 가리기(Wipeout)’를 활용하면 불필요한 배경을 숨겨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나선(Helix)’ 명령어를 이용하면 3D 구조에서 나선형 설계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도넛(Donut)’ 기능을 사용하면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객체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들을 적절히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인 도면 작업이 가능합니다.

 

2025.02.17 - [오토캐드] - 오토캐드 전문가가 말해주는 객체 그리기 - 점 및 분할 기능 활용법

 

오토캐드 전문가가 말해주는 객체 그리기 - 점 및 분할 기능 활용법

1. 다중 점(Point)1.1 오토캐드에서 ‘점(Point)’은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객체로, 기준점을 설정하거나 측량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기본적으로 점은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지만, 스타

4ulove.tistory.com

 

 

반응형

댓글